【스튜디오】 <br />▶엄지민 <br />안녕하세요. 엄지민입니다. 현상 이면에 숨겨진 사실을 좇아, 팩트추적! 지금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【인트로】 <br />'무료 체험 기회 제공' 광고를 믿고 가입한 온라인 구독 서비스. <br /> <br />요금 청구서를 받고서야 돈이 빠져나간 걸 알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상호(가명) / '다크패턴' 경험자 : 통장에서 진짜 돈이 빠져나갔다는 알림이 오기 전까지 '내가 이걸 언제 구독하고 있었지?'라는 생각이….] <br /> <br />소비자의 착각과 실수를 유발해 비합리적인 지출을 유도하는 '다크패턴'. <br /> <br />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활개 치던 '눈속임 상술'이, 이제는 금융과 게임 등 다른 분야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철우 / 변호사 : 그 아이템을 구매할 의향이 없는데도 계속 시도 때도 없이 게임의 팝업을 통해서 아이템 구매를 권유하게 되면….] <br /> <br />정부가 규제에 나섰지만, 빈틈은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[최철 /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 : 제재나 벌칙 수준이 좀 약하지 않느냐…. 과태료 처분은 사실 그 과태료가 소비자한테 피해 구제로 이어지는 것도 아니거든요.] <br /> <br />건전한 시장 질서를 해치는 '다크패턴'의 함정. <br /> <br />그 교묘한 덫에서 소비자를 보호할 해법은 없는 걸까요? <br /> <br />【스튜디오】 <br />□ "소비자 기만하는 눈속임, 다크패턴" <br /> <br />▶엄지민 <br />팩트체커 안동준 기자와 함께합니다. <br /> <br />안 기자, 구독 서비스 무료 체험에 가입한 걸 잊고 있다가 결제가 돼서 당황한 적, 저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런 걸 '다크패턴'이라고 한다고요? <br /> <br />▶안동준 <br />네, 온라인에서 소비자의 착각이나 부주의를 유발해 불필요한 지출을 유도하는 걸 '다크패턴'이라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구독 서비스 해지 등을 어렵게 만들거나, 결제 등 중요한 정보를 의도적으로 감추는 설계 방식을 꼽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▶엄지민 <br />한마디로 소비자를 기만하는 '눈속임 상술'이란 건데, 최근 관련 피해가 끊이질 않고 있죠? <br /> <br />▶안동준 <br />네,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다가 한 번쯤 이런 경험을 해보셨을 텐데요. <br /> <br />어떤 사례와 유형들이 있는지, 화면으로 함께 보시죠. <br /> <br />【 VCR - 1 】 <br />퇴근 이후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쓴다는 김상호(가명) 씨. <br /> <br />얼마 전 할인 쿠폰을 받고 음식을 주문하려다, 결제 과정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쿠폰 가격만큼 이미 배달 가격이 올라 있었던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상호(가명) / '다크패턴' 경험자 : 쿠폰을 받았다고 좋아했는데, 결국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74&key=2025050216133749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